이 포스트는 마셜 B. 로젠버그, ⌜비폭력대화⌟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왜 이 책을 읽었는가?

나는 사람이 감정이 있는 한, 살아가면서 누구나 갈등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갈등을 어떻게 미연에 방지하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풀어나가는지에 조금 더 집중하는 편이다.
이에 예전에 멘토님께 조언을 구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추천받았던 책이 이 ‘비폭력대화’다.

비폭력대화

연민의 언어

비폭력은 마음 안에서 폭력이 가라앉고 자연스럽게 본성인 연민으로 돌아간 상태로, 비폭력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NVC)는 마음에서 우러나와줄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끌어주는 소통 방법을 말한다.

이 책에서는 NVC를 익히면 자신이 무엇을 관찰하고 느끼고 원하는가를 의식하여, 이를 바탕으로 솔직하고 명확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존중과 공감으로 귀 기울여 듣고,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원하는지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됨을 말한다.

즉, NVC는 우리의 본성인 연민이 우러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유대를 맺고, 우리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핵심

NVC 모델에는 관찰, 느낌, 욕구, 부탁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있다.

실제로 일어난 내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 행동을 보았을 때 어떻게 느끼는지를 말한다. 그리고 내가 인지한 느낌이 내면의 어떤 욕구와 연결되는지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부탁을 하는 것이다.

물론 말할 때가 아닌 들을 때에도 마찬가지다. 이 네 가지 요소에 공감하며 듣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대한 예시는 아래의 적용 부분에 적었다.

상황 별 NVC

갈등을 중재하든, 듣기를 하든 근본적인 NVC의 핵심은 변하지 않는다. 다만 세세하게는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두었다.

부탁하기

  • 원하는 것을 명확하고, 긍정적이며, 구체적인 행동 언어로 부탁한다.
  • 말하는 사람의 느낌과 욕구를 표현하지 않는 부탁은 명령처럼 들릴 수 있다.
    • ex) “머리 좀 자르지 그러니?” vs “네 머리가 너무 길어서 혹시나 앞이 안 보일까 봐 걱정된다. 특히 자전거를 탈 때 말이야. 머리를 좀 자르는 게 어떻겠니?”
  • 부탁에 응하지 않았을 때 부탁한 사람이 비판이나 비난을 하면 강요다.
  • 말한 사람이 상대의 욕구를 이해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부탁이다.

공감으로 듣기

  • 상대방이 하는 말에 관심을 집중하고, 상대방이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고 이해 받았다고 느낄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줘라.
  • 안심시켜주는 말이나 조언을 하기 전에 상대방이 그것을 원하는지 물어봐라.
  • 다른 사람이 어떤 말을 하든 우리는 이들이 무엇을 관찰하고, 느끼고, 필요로 하고, 부탁하는가에만 귀를 기울인다.
  • 방어적이 되거나 공감하기 어려울 때에는 멈추고 심호흡하고 자기 공감을 하거나, 비폭력적으로 소리를 지르거나, 잠시 그 자리를 떠나 혼자만의 시간을 가진다.

‘해야만 한다’를 ‘선택한다’로 바꾸기

  1. 지겹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여 스스로에게 해야만 한다고 말하면서 하고 있는 일들을 적는다.
    ex) 나는 운동을 해야 한다.
  2. 꼭 해야만 하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하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그 일들을 한다는 점을 분명히 인정한다. 목록의 각 항목을 ‘나는 …을 하기로 선택한다.’로 바꾼다.
    ex) 나는 운동을 하기로 선택한다.
  3. 그 행동을 한 자신의 동기를 찾아낸다. 그리고 그 항목을 ‘나는 …을 원하기 때문에 …을 하기로 선택한다.’
    ex) 나는 건강하게 살고 싶기 때문에 운동을 하기로 선택한다.

갈등 해결

  • 갈등을 겪는 사람들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 한쪽 편에 공감을 표현할 때, 다른 한쪽이 중재자가 편애한다며 중재자를 비난한다면, 공감을 하고 나서 모든 사람이 자기 말을 할 기회가 있고 다음 차례가 그들이라는 것을 일러 준다(응급처치 공감).
  • 한 사람 말이 끝나기 전에 다른 사람이 뛰어들어 격앙되면, 중재자는 중간에 끼어들어 응급처치 공감을 한다.

갈등 해결의 단계

  1. 우리 자신의 욕구를 표현한다.
  2. 상대가 자신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고 있든, 그들의 진정한 욕구를 찾는다.
  3. 우리가 상대의 욕구를 정확하게 찾아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해서 그들이 하는 말 뒤에 있는 욕구를 찾는다.
  4. 쌍방이 서로의 욕구를 정확하게 듣기 위해 필요한 만큼 충분히 공감을 한다.
  5. 그 상황에서 양쪽의 욕구가 분명해지면, 그것을 긍정적인 행동언어로 정리해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감사하는 말하기

  • 어떤 보답을 원해서가 아니라 함께 기뻐하기 위해 고마운 마음을 표시한다.
  • “감사합니다.”를 NVC로 표현하는 방법: “당신이 …했을 때, 나는 …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내 …한 욕구가 충족되었습니다.”
  • 거짓 겸손이나 우월감 없이 감사를 받아들인다.

적용

오늘 아침 나는 독립문에서 출발하는 지하철 첫차를 타려 새벽 5시에 집을 나왔다. 원래라면 시간표 상 5시 10분에 버스 첫차를 타고 25분에 독립문에 도착해야 했다. 하지만 버스는 그보다 5분이 늦은 5시 15분에 정류장에 도착했고, 나는 결국 독립문 첫차를 놓쳤다.
난 첫차의 도착 시간이 시간표와 어긋난 것에 대해 화가 났다. 그리고 속으로 “새벽이라 밀릴 차도 없는데 왜이렇게 늦게 오나. 또 서서 가겠네.” 하며 짜증을 냈다.

이때 난 문득 비폭력대화의 내용이 기억났다. 내가 원하는 것, 욕구를 연결시켜서 생각을 조금 바꿨다.
“나는 첫차를 타서 편하고 쾌적하게 가고 싶었는데(욕구), 버스가 5분 늦게 와서 독립문발 첫차를 놓쳤다(관찰). 그래서 짜증이 난다(느낌). 첫차 정도는 1-2분의 오차는 두더라도 시간표를 지켜서 운행했으면 좋겠다(부탁).”
이렇게 생각을 하니 신기하게도 내가 나를 다독이는 느낌이 들면서 짜증이 금방 가라앉았다.

여담

이 책에는 NVC의 예시를 나열한 연습 문제가 있다. 재밌는 점이 이 책에서는 가치 판단보다는 관찰을 권하는데, 만약 문제가 “다음 중 느낌을 표현한 문장을 고르시오”라는 내용이라면 해설에 “이 문항을 골랐다면 당신과 나의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또는 “당신과 나의 의견은 일치한다.”라고 한다.
이 문장을 눈치챘는지 모르겠는데, “이 문항을 골랐다면 틀렸다.”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틀렸다는 말은 관찰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게 아닌가 싶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