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이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을 수강하고 작성하였습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
-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
-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하여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
-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
다형성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
-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 ex)
- 표준 인터페이스
-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을 갈아끼워도 정렬이 되고 성능이 좋으면 됨
- ex)
-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하면, 클라이언트, 서버 모두에 큰 변경 발생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
- 장점
- 세상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
- 클라이언트는 인터페이스만 알면 됨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됨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음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음
- 단점
- 추상화 비용 발생
- 기능 확장 가능성이 없으면 구현 클래스 직접 사용, 꼭 필요할 때 리팩터링해서 인터페이스 도입
- 장점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자동차의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운전자는 운전 면허만 있으면 됨(= 자동차의 인터페이스만 알면 됨)
- 운전자는 각 차량의 내부 구조(실린더가 어쩌구)를 몰라도 운전 가능
- 운전자는 차량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엔진 기통수 변경) 운전 가능
- 차종이 달라져도(자동차의 구현 대상 자체가 달라져도) 운전할 줄 알기 때문에(자동차의 역할을 알기 때문에) 운전 가능
자바에서의 역할과 구현 분리
-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 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협력이라는 객체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 함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함
-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
- 스프링을 사용하면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 가능
댓글남기기